쇼핑몰 바로가기
EN

인삼정보

오천 년을 이어온 신의 영약, 인삼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유래

인삼의 유래와 명칭
인삼의 분류와 범주

인삼의 유래

고려인삼은 아시아의 극동 지방에서만 자생하는 약용식물로서 북위 30˚에서 48 ˚인 한국(33.7˚,-45.1˚), 중국(만주, 43˚,-47˚), 러시아(극동의 연해주, 40˚,- 48˚)의 3개 지역에서만 산출되고 있다.

인삼은 근본적인 식물학적 특성이 재배적지에 대한 선택성이 강하여 기후토질 등 자연환경이 적당하지 않은 곳에서 인삼을 적응 생육시키는 것은 아주 어려운데 이런 점에서 한국은 인삼생육의 최적지이며 한국인삼을 특히 ‘고려인삼’이라고 명명하여 세계적으로 높이 평가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삼이 강장제로 약물사에 등장하게 된 것은 2000년전인 중국의 전한 원제시대(BC48~33)의 문헌 「급취장」에서 처음 인삼의 「蔘」字가 소개되었다. 중국의 후한(AD196~219)의 문헌 장중경의 상한론에서는 동약의학으로서의 인삼처방에 관한 기록이 있다.

또한 한방의서의 원본이라 할 수 있는 신농본초경에 이르러서는 인삼의 산지, 품질을 비롯하여 그 약효와 응용 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있었고 야생인삼의 자생지 등 인삼에 대한 유래도 밝히고 있다.

또한 인삼의 학명은 Panax Ginseng C.A. Meyer(1843)인데 어원을 보면 ‘Pan’‘모든 것’, ‘Axos’‘의학’이라는 뜻으로 만병통치라는 의미이다.

인삼의 역사

시기 고서 내용
BC 48-33 급취장 인삼기록 처음 등장
196-220 상한론 백제 무령왕12년 양무제에게 인삼선물
451 명의별록 인삼을 상약으로 분류
483-496 신농본초경 인삼을 상약으로 분류 방약합편, 동의보감 등에 처방된 600여개 기록

인삼의 역사

시기 고서 내용
1080년 고려순종 홍삼제조법 개발 보급
정조21년 정조실록 홍삼이라는 이름이 첫 등장
순조21년 순조실록 홍삼을 개경에서 산출
1907년 전매법 발효
1996년 전매법 폐지

인삼의 명칭

‘심’이라고 불리어지는 우리나라 인삼 고유이름의 어원 및 사용연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동의보감, 제중신편이나 방약합편에 인삼이 “심”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심’이 당시의 상용명칭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근래까지 산삼 채취인의 은어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고려인삼의 “人”자는 인삼의 뿌리 형상이 사람의 모양을 닮았다 하여 생긴 것으로 삼을 표시하는 한자는參, 蔘등으로 중국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사람의 형상을 닮지 않는 다른 종의 인삼과 구별된다. 세계적으로 인삼속의 식물종은 6~7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품용으로 재배되어 세계시장에서 상품으로 유통되고 있는 인삼종(ginseng species)은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다.

고려인삼종(Panax ginseng C.A. Meyer)

지리적으로 한국을 비롯한 중국 등 아시아 극동지역에 분포

화기삼(Panax quinque folium L)

미국 및 캐나다 지역에 분포

전칠삼(Panax notoginseng F.H. Chen)

중국남부의 운남성, 광서성지역에 분포

Engler의 계통분류법

유관유배식물

(Embryophyta

Siphonogama)

아문

피자식물아문

(Angiospermae)

쌍자엽식물망

(Dicotyledoneae)

아강

이판화식물아강

(Archichlamydeae)

산형목

(Umbelliflorae)

오가과

(Araliaceae)

인삼속

(Panax)

한국고려인삼의 법적 분류

법률 대상 비고
인삼산업법 백삼본삼, 홍삼본삼, 태극삼본삼, 수삼,(흑삼) 농림수산해양부
식품위생법/건강기능식품법/약사법(생약규격집) 인삼제품,홍삼제품(흑삼제품,산양산삼제품) 산삼배양근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청
임업 및 산촌 진흥 촉진법 산삼, 산양산삼 산림청

가공에 따른 분류법

사진 명칭 특징 비고
수삼(생삼) 경작지에서 수확하여 수분 75% 내외의 가공하지 않은 원료삼. 냉장중 7일이내 유통 농산물/인삼산업법 ,농림부
백삼(건삼) 피부를 벗기거나 그대로 수분 15% 이하로 건조한 건삼
(피부직삼, 직삼, 반곡삼, 미삼, 곡삼등)
농산물/농림부/인삼산업법, 의약품(생약)/보건복지부
태극삼 4,5년근 수삼을 끊는 물에 찌거나 데쳐서 수분 15% 이하로 건조한 건삼 농산물/인삼산업법 ,농림부
홍삼 장기간 보관목적으로 증숙하여 수분 15% 이하로 건조한 농다갈색의 건삼 농산물/농림부/인삼산업법, 의약품(생약)/보건복지부
흑삼 수삼을 구증구포(아홉번 찌고 아홉번 말림)하여 흑색을 띤 건삼 법적근거없음
산삼 산중임간 자생한 인삼으로 20년 이상 자연임간 생육된 인삼 임법 및 산촌진흥촉진법, 임산물/산림청
산양산삼 산삼씨앗을 임간임하에 인위적으로 15년 이상 생육시킨 인삼 임법 및 산촌진흥촉진법, 임산물/산림청
산삼배양근 산삼조직 배양을 60일간 실험실적 장비·시설을 통하여 복사 생산한 뿌리삼 식품위생법/식품첨가물, 보건복지부/식약청

인삼의 범주

고려인삼은 오가피과(Araliaceae) 파낙스속(Panax) 인삼종으로 학명은 Panax ginseng C.A. Meyer로 표기하는데 이는 1843년 러시아의 식물학자 C.A. Meyer에 의해 명명되었다.
고려인삼의 속명인 Panax는 그리서어로서 pan과 axos라는 두 단어의 복합어이다. Pan은 “모든”이라는 뜻이며 axos는 “치료하다”라는 뜻으로써 “모든 병을 치료한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한편 고려인삼의 종명을 나타내는 “ginseng”은 인삼의 중국어 발음을 영문으로 표기한 것이다.

고려인삼이 속해있는 인삼속(Panax)에는 고려인삼을 포함한 6개의 종이 있으며,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의 지역에서 재배되는 인삼속 식물들은 계통이나 형태, 성분 면에 있어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온 고려인삼과는 차이가 있다.
이름(학명) 소엽수 뿌리형태 원산지
고려인삼(Panax ginseng) 5 사람모양 한국 만주
화기삼 (Panax. quinquefolium) 5 원주형 북미 동부
전칠삼 (Panax. notoginseng) 5-7 소형 당근 중국 운남
죽절삼 (Panax. japonicum) 5 대나무 뿌리모양 일본, 중국 운남 등
삼엽삼 (Panax. trifolium) 3 구형 북미 동부
히말라야삼 (Panax. pseudoginseng) 5 구근형 네팔
고객문의 전화
031-774-3417
평일  09시 ~ 18시 
(주말, 공휴일은 쉽니다)
상호 : 케이지랩 주식회사 | 대표이사 : 노옥희
주소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경강로3275 | 전화 031-774-3417 | 팩스 : 031-774-4209 | 사업자등록번호 : 132-81-21183
COPYRIGHT (C) 2008-2020 케이지랩 주식회사 ALL RIGHTS RESERVED
chevron-down